현대 투스카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투스카니는 1996년부터 2008년까지 생산된 현대자동차의 스포츠 쿠페로, 1세대(RD)와 2세대(GK) 모델로 출시되었다. 1996년 출시된 1세대 모델은 현대 아반떼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1998년과 1999년에는 영국 시장을 위해 F2 및 F2 에볼루션 특별 모델이 출시되었다. 2001년 티뷰론의 후속으로 출시된 2세대 모델은 아반떼 XD 플랫폼을 사용했으며, 다양한 엔진과 변속기 옵션을 제공하여 운전의 재미를 강조했다. 투스카니는 대한민국 스포츠 쿠페 시장에서 튜닝 문화를 이끌었으며, 레이싱 게임에도 등장하여 젊은층에게 인기를 얻었다. 투스카니는 유럽에서는 현대 쿠페, 일부 시장에서는 티뷰론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며, 2008년 제네시스 쿠페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륜구동 스포츠카 - 폭스바겐 시로코
폭스바겐 시로코는 1974년부터 2017년까지 생산된 스포츠 쿠페로, 1세대(주지아로 디자인), 2세대(폭스바겐 디자인), 3세대(골프 플랫폼 기반)로 나뉘며, 스포티한 주행 성능과 개성 있는 디자인을 선보였으나 2018년에 단종되었다. - 전륜구동 스포츠카 - 란치아 풀비아
란치아 풀비아는 1963년부터 1976년까지 란치아에서 생산된 전륜구동 소형차로, 협각 V4 엔진을 탑재하고 랠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다양한 모델로 출시되었다. - 1996년 도입된 자동차 - 아우디 A3
아우디 A3는 아우디의 준중형차로, 1996년 1세대가 출시되어 현재 4세대 모델까지 판매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시장에서 세련된 디자인과 뛰어난 연비로 인기를 얻었다. - 1996년 도입된 자동차 - 푸조 406
푸조 406은 1995년 푸조가 출시한 중형차로, 세단, 브레이크, 피닌파리나에서 디자인한 쿠페 모델이 있으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승차감, 영화 《택시》 출연, 모터스포츠 활약으로 인기를 얻었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현대 투스카니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현대 티뷰론 |
제조사 | 현대자동차 |
다른 이름 | 현대 쿠페 |
생산 기간 | 1996년–2008년 |
차종 | 스포츠카 |
차체 스타일 | 2도어 쿠페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
이전 모델 | 현대 스쿠프 |
후속 모델 | 현대 벨로스터 |
모델 출시 년도 | 1997년–2001년2003년–2008년 |
차명 정보 | |
한국어 | 현대 티뷰론 () |
일본어 | 현대 쿠페 () |
영어 | 현대 투스카니 |
2. 역사
현대 쿠페의 역사는 1996년 티뷰론 출시와 함께 시작되어 2008년 단종될 때까지 이어졌다. 문헌에 따라 '티뷰론'을 1세대, '티뷰론 터뷸런스'를 2세대, '투스카니'를 3세대로 보기도 한다.[28]
2. 1. 1세대 (RD; 1996-2001)
1996년 4월, 아반떼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티뷰론'''이 출시되었다.[28] 전륜구동[29] 방식이며, 베타(β) 엔진을 탑재했다. 초기에는 직렬 4기통 2.0L DOHC 엔진이, 이후 1.8L 엔진이 추가되었다.[28] 판매 지역에 따라 1.6L 엔진도 있었다.[30] 5단 수동 또는 4단 자동 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다.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은 포르쉐와 공동 개발하여 주행 성능을 향상시켰다.[28][7]1999년 5월에는 '''티뷰론 터뷸런스'''가 출시되었다.[28] 전면 및 후면 범퍼, 실내 대시보드 디자인이 개선되었다. 헤드라이트는 하이빔과 로우빔을 분리하여 3세대 혼다/아큐라 인테그라 및 6세대 토요타 셀리카와 유사한 4등식 디자인을 채택했다.
티뷰론은 ABS, 에어백 2개, 가죽 시트, 선루프 등의 옵션을 제공했다.
현대자동차는 랠리 참가를 위해 영국의 MSD(모터스포츠 디벨롭먼트)에 티뷰론 F2 키트카 개발을 위탁했다. 1998년 "F2", 1999년 "F2 에볼루션" 특별판이 영국에서 출시되었다. 티뷰론은 1999년 APRC 2륜 구동 부문 타이틀, FIA 2.0리터 컵 연간 2위를 차지했다. 미국 SCCA 프로 랠리에서는 4륜구동 개조 티뷰론이 제조사 선수권 6연패를 달성했다.
이 세대는 일본 시장에 정식 수입되지 않았다.[31]
구분 | 내용 |
---|---|
모델 코드 | RD |
생산 기간 | 1996년–2001년 |
조립 |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
관련 차종 | 현대 아반떼/엘란트라 (J2/RD) |
엔진 | 1.6 L 베타 I4, 1.8 L 베타 I4, 2.0 L 베타 I4 |
변속기 | 5단 수동, 4단 자동 |
휠베이스 | 2475mm |
전장 | 4340mm (기본), 4345mm (페이스리프트) |
전폭 | 1730mm |
전고 | 1303mm |
공차중량 | 1160kg ~ 1215kg |
2. 1. 1. F2 및 F2 에볼루션 (영국 특별판)
1998년과 1999년에 각각 출시된 "F2" 및 "F2 에볼루션" 모델은 현대자동차가 포뮬러 2 랠리에 참가한 것을 기념하는 특별판이었다. 이 모델들은 영국에서만 판매되었으며, 외관 디자인 개선 및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다.
"F2" (비 에볼루션)는 1998년 7월에 출시되어 영국에서 약 1100대가 판매되었다. 이 모델은 블랙, 브라이트 실버, 레이싱 블루 세 가지 색상으로 제공되었으며, 16인치 멀티 스포크 DTM 스타일 합금 휠과 "F2" 로고가 포함된 탄소 섬유 효과 센터 캡이 장착되었다. 또한, 더 깊고 공격적인 프론트 스포일러와 타원형 크롬 메쉬 그릴 인서트, "F2" 배지, 업그레이드된 소니 CD/튜너 스테레오, "쿠페 F2" 모노그램 알루미늄 킥 플레이트, 독특한 가죽과 알루미늄 기어 스틱 등이 특징이다.

"F2 에볼루션"은 1999년 6월 14일에 출시되어 "F2" 모델을 대체했다. 이 모델은 실버와 코발트 블루 두 가지 색상으로 제공되었으며, 맥라렌 F1 스타일리스트 피터 스티븐스가 디자인을 주도했다. 더 큰 전면 범퍼/스포일러, 수정된 리어 스포일러, 하이 리프트 흡기 캠샤프트, Magnex 배기 장치, 16인치 5 스포크 합금 휠 등이 특징이다. 또한, "F2 에볼루션" 배지, 업그레이드된 소니 스테레오, "쿠페 F2 에볼루션" 모노그램 알루미늄 킥 플레이트, 크림색 계기판, AP 레이싱과 공동 개발한 새로운 브레이크 패드 등이 적용되었다.
"F2 에볼루션"의 기계적 변경 사항은 캠샤프트 및 배기 장치 개선에 국한되었으며, 이를 통해 출력은 154hp, 토크는 로 증가했다.[9] 각 차량에는 MSD 빌드 번호가 표시된 금속 MSD 배지가 부착되었다.
2. 2. 2세대 (GK; 2001-2008)
2001년 9월 7일에 티뷰론의 후속 차종으로 투스카니가 출시되었다. 현대자동차는 1997년 10월 GK라는 프로젝트명으로 상품을 발의하고, 1999년 5월에 디자인을 확정, 2000년에 프로토 타입을 제작하여 2001년 8월 양산을 목표로 3년 10개월 동안 개발하였다. 아반떼 XD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사용하여 개발되었으며, 직렬 4기통 2.0L 베타 엔진과 V6 2.7L 델타 엔진 두 가지 엔진을 적용했다. 대한민국산 승용차 최초로 6단 수동변속기를 적용하여 가속력을 높였고, 멀티 게이지, 1단 CDP 오디오와 프리미엄 CDC 오디오(V6 2.7L DOHC 엘리사 트림에는 당시 포르쉐에 장착되던 하만데커가 그대로 사용됨)를 적용하여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1열 사이드 에어백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켰다.[35] 탤런트 류시원이 1호차를 받았다.[35]2002년 2월 14일에는 튜닝에 초점을 맞춘 저가형 2.0 GL 트림이 추가되었다.[36] 같은 해 9월 2일에는 2003년형 투스카니가 출시되었는데, 기존 2.0리터 베타 엔진에 VVT(가변 밸브 타이밍) 방식이 적용되었고, 오렌지색과 야누스 실버 특수 컬러(옵션)가 추가되었다.[37] 2003년 9월 18일에는 2.7 엘리사에 적용된 6단 수동변속기를 적용한 2.0 GTS Ⅱ 트림이 추가되었다.[38]
2004년 9월 7일 투스카니 출시 3주년을 기념하여 9월 13일에 출시된 2005년형은 더 날렵한 디자인의 범퍼와 새로운 스타일의 리어 램프가 적용되었고, 시트 패턴도 변경되었다. 또한 대한민국산 자동차 최초로 파워 브레이크 시스템이 적용되어 더욱 강력하고 안정적인 제동 성능을 갖추게 되었다. 2005년에는 수요가 적은 오렌지색, 야누스 실버, 푸른물색 등의 특수 컬러(옵션)가 삭제되었다.
2006년 10월 9일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투스카니의 수출명은 티뷰론과 같은 쿠페였지만, 미국과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는 기존 차명인 티뷰론으로 수출되었다. 유럽에서는 현대 쿠페라는 차명으로 판매되었다. 해외 수출 모델에는 크루즈 컨트롤 기능이 탑재되어 상품성을 높이려 했으나, 내수 모델에는 계기판에 흔적만 남아 있었다. 2008년 10월에 후속 차종은 상급 차종인 제네시스 쿠페가 채웠다. 현재 벨로스터가 투스카니의 후계자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가 있지만, 차체 형태와 성격, 등급이 다르다.
구분 | 2.0L 베타 | V6 2.7L 델타 |
---|---|---|
전장(mm) | 4395mm | |
전폭(mm) | 1760mm | |
전고(mm) | 1330mm | |
축거(mm) | 2530mm | |
윤거(전, mm) | 1490mm | |
윤거(후, mm) | 1490mm | |
승차 정원 | 4명 | |
변속기 | 수동 5단 수동 6단 자동 4단 | 수동 6단 자동 4단 |
서스펜션(전/후) | 맥퍼슨 스트럿/듀얼 링크 | |
구동 형식 | 전륜 구동 | |
엔진 형식 | G4GC | G6BA |
연료 | 가솔린 | |
배기량(cc) | 1975 | 2656 |
최고 출력(ps/rpm) | 143/6,000 | 175/6,000 (이후 167/6,000으로 변경) |
최대 토크(kg*m/rpm) | 19.0/4,500 | 25.0/4,000 |
연료 탱크 용량(L) | 55L | |
공차 중량(kg) | 1,297(수동 5단)/ 1,324(수동 6단)/ 1,321(자동 4단) (이후 1,318(수동 5단)/ 1,342(수동 6단)/ 1,344(자동 4단), 1,331(수동 5단)/ 1,330(수동 6단)/ 1,357(자동 4단)으로 변경) | 1,341(수동 6단)/ 1,349(자동 4단) (이후 1,368(수동 6단)/ 1,372(자동 4단), 1,390(수동 6단)/ 1,395(자동 4단)으로 변경) |
연비(km/L) | 13.3(수동 5단)/ 13.7(수동 6단)/ 11.7(자동 4단) (이후 10.8(수동 5단)/ 12.4(수동 6단)/ 9.7(자동 4단), 11.6(수동 5단)/ 12.5(수동 6단)/ 10.4(자동 4단)으로 변경) | 10.6(수동 6단)/ 9.9(자동 4단) (이후 9.8(수동 6단)/ 8.7(자동 4단), 10.5(수동 6단)/ 9.0(자동 4단)으로 변경) |
Co2 배출량(g/km) | 201(수동 5단)/ 187(수동 6단)/ 224(자동 4단) | 224(수동 6단)/ 259(자동 4단) |
일본 시장에서는 2002년 4월 2일에 '현대 쿠페'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31] 일본 사양 차(GK27형)는 2.7L V형 6기통 DOHC 엔진만 적용되었으며, 6단 수동변속기 또는 스포츠 모드가 있는 4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되었다. 2007년 3월부터 일본 시장에 도입된 후기형 모델은 토요타 셀리카와 혼다 인테그라가 잇따라 판매 종료되면서 쿠페형 차종으로서는 드물게 300만 엔을 크게 밑도는 가격으로 판매되었지만, 2008년 6월경 수입 판매가 종료되었다.
한국에서는 튜닝 카의 베이스 차종으로도 인기가 많았으며, 특히 2.7L 차 "Elisa"의 작스 서스펜션을 2.0L 차에 사용하거나, 전기형과 후기형 간의 얼굴 바꾸기(페이스 스왑)와 같은 개조가 이루어졌다.[34] 또한, 2.0L 차에서 볼트온 터보 등의 튜닝이 유행했다.
2. 2. 1. 투스카니 CCS (컨버터블 모델)
2003년, 칼만사의 협력 하에 투스카니를 기반으로 한 4인승 컨버터블 "'''현대 CCS'''"가 발표되었다. CCS는 Coupe Convertible Study의 약자이다. 같은 해 도쿄 모터쇼 등 여러 행사에 전시되었지만, 참고 출품에 그쳐 시판되지는 않았다.3. 디자인
현대 쿠페는 각 세대별로 독특한 디자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왔다. 특히 1세대 모델은 코크 병 스타일을 부활시켜 주목받았다.[7]
1세대 투스카니는 1993년 디트로이트 오토쇼에 선보인 "HCD-II 에포크" 콘셉트카의 디자인을 많이 차용했다. 2세대 투스카니(GK)는 현대 티뷰론의 후속 차종으로, 1세대보다 더 날렵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선보였다.[35] 2004년에는 디자인을 개선한 2005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는데, 더 날렵한 디자인의 범퍼와 새로운 스타일의 리어 램프가 적용되었다.[35]
2005년형 모델은 재설계된 검은색 "스모크" 헤드라이트, 재설계된 후미등, 더욱 공격적인 전면 에어 댐, 다양한 디자인의 알로이 휠을 특징으로 했다. 2006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디자인이 한층 더 변경되었으며,[35] 2007년형 모델은 헤드라이트가 더 얇아지고 더 공격적인 각도를 갖추었고, 테일 라이트는 RD2 및 GK1과 유사하지만 다소 작으며 애프터마켓 스타일을 반영했다.
일부 자동차 저널리스트들은 2세대 티뷰론의 디자인을 페라리 456에 비유하며 호평하기도 했다.[10]
3. 1. 1세대 (RD) 디자인
1996년 말 처음 생산된 투스카니는 1993년 디트로이트 오토쇼에서 선보인 "HCD-II 에포크" 콘셉트카의 디자인을 많이 가져왔다. 코크 병 스타일을 부활시킨 외관 디자인이 특징이며,[7] ABS, 2개의 에어백, 가죽, 선루프 등 다양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었다.3. 2. 2세대 (GK) 디자인
2세대 투스카니(GK)는 2001년 9월 7일에 현대 티뷰론의 후속 차종으로 출시되어, 1세대보다 더 날렵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선보였다.[35] 현대자동차는 1997년 10월부터 GK라는 프로젝트명으로 개발을 시작하여 1999년 5월에 디자인을 확정하고, 2001년 8월 양산을 목표로 3년 10개월 동안 개발하였다.[35]

2004년 9월 7일에는 출시 3주년을 기념하여 디자인을 개선한 2005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35] 더 날렵한 디자인의 범퍼와 새로운 스타일의 리어 램프가 적용되었고, 시트 패턴도 변경되었다.[35]
2005년형 모델은 재설계된 더 날렵한 검은색 "스모크" 헤드라이트, 재설계된 후미등, 더욱 공격적인 전면 에어 댐, 다양한 디자인의 알로이 휠, 가죽 시트의 컬러 스티칭(1.6 모델에는 반가죽 시트 제공)을 특징으로 했다.
2006년 10월 9일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디자인이 한층 더 변경되었다.[35] 이 모델은 수출명으로 티뷰론과 같은 쿠페를 사용했지만,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는 기존 차명인 티뷰론으로 수출되었다.[35] 유럽에서는 현대 쿠페라는 차명으로 판매되었다.[35]


2007년형 모델을 위해 2006년 11월에 보다 광범위한 페이스리프트가 출시되었으며, 영국과 같은 시장에서는 쿠페 SIII로 명명되었다. 헤드라이트는 더 얇아지고 더 공격적인 각도를 갖추었으며, 테일 라이트는 RD2 및 GK1과 유사하지만 다소 작으며 애프터마켓 스타일을 반영한다.
4. 기술적 특징
현대 쿠페는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변속기 옵션을 제공하여 운전의 즐거움을 더했다. 투스카니는 1996년 말에 처음 생산되었으며, 1.6L, 1.8L, 2.0L 베타 I4 엔진과 5단 수동, 4단 자동 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다. 1998년에는 1.8L 엔진이 단종되고, 모든 모델에 2.0L 엔진이 장착되었다. 2.0L 엔진은 0-60 mph 가속 시간을 약 8.3초, 1/4 마일 주파 시간을 약 16초를 기록했다.[6]
2세대 모델(GK)은 2003년형으로 출시되었으며, 1.6L 알파 II I4, 2.0L 베타 II I4, 2.7L 델타 V6 엔진과 5단 수동, 6단 수동, 4단 자동 (Mitsubishi INVECS II (F4A42 시리즈)) 변속기를 제공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유행했던 코크 병 스타일을 부활시킨 외관과 함께, ABS 유무, 2개의 에어백, 가죽, 선루프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했다. 또한, 세계 랠리 챔피언십 포뮬러 2 진출을 기념하여 1998년과 1999년에 영국에서 "F2" 및 "F2 에볼루션" 모델을 출시하는 등 외관 수정 및 개선에 중점을 둔 다양한 스페셜 에디션도 생산되었다.
2005년형 모델(GK)은 재설계된 헤드라이트, 후미등, 전면 에어 댐 등을 통해 더욱 날렵하고 공격적인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2006년에는 GT 리미티드 모델이 출시되어 업그레이드된 가죽 실내, 자동 온도 조절 장치, 인피니티 6 디스크 대시 스테레오 등을 제공했다. 호주에서는 2005년 TS 한정판이 출시되어 독특한 "타이거 오렌지" 색상과 더 단단한 서스펜션 댐핑을 특징으로 했다.
2007년형 모델(GK F/L2)은 더 광범위한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쿠페 SIII로 명명되었으며, 헤드라이트와 테일 라이트 디자인이 변경되고, 펜더의 "아가미 핀"이 제거되는 등 외관이 크게 변경되었다. 실내는 계기판 및 장비에 대한 업데이트된 파란색 백라이트 방식을 받았다.
정확한 사양은 모델과 판매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제공되었다.
- ABS, 제동력 분배 기능이 있는 듀얼 회로
- 프론트(가변 속도) 에어백 및 사이드 에어백
- 측면 충돌 방지 바
- ESP (2007)
- 트랙션 컨트롤
- 전동 창문, 선루프
- 앞좌석 열선 시트
- 트립 컴퓨터
- 에어컨 / 자동 온도 조절 장치
- 가죽 / 반가죽 / 천 시트
- 스포츠 시트
- 알로이 휠(16" 또는 17")
- CD 플레이어 (카세트 및 라디오 포함)
- 토크, 실시간 연비 및 배터리 전압을 표시하는 추가 계기판
2004~2007년 모델은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으로부터 4/5 스타 등급을 받았다.
4. 1. 엔진
투스카니는 티뷰론의 후속 차종으로, 아반떼 XD의 플랫폼을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2.0L 베타 엔진과 V6 2.7L 델타 엔진 두 가지가 적용되었다.[35] 2002년에는 2.0L 베타 엔진에 VVT(가변 밸브 타이밍) 방식이 적용되었다.[37]구분 | 2.0L 베타 | V6 2.7L 델타 |
---|---|---|
엔진 형식 | G4GC | G6BA |
연료 | 가솔린 | |
배기량 (cc) | 1,975 | 2,656 |
최고 출력 (ps/rpm) | 143/6,000 | 175/6,000 (이후 167/6,000으로 변경) |
최대 토크 (kg*m/rpm) | 19.0/4,500 | 25.0/4,000 |
변속기 | 수동 5단 | 수동 6단 |
4. 2. 변속기
현대 투스카니는 5단 수동변속기, 6단 수동변속기, 4단 자동변속기 등 다양한 변속기 옵션을 제공했다. 자동변속기에는 운전자가 원하는 대로 변속할 수 있는 수동 변속 게이트가 있었다.[32] 대한민국산 승용차 최초로 6단 수동변속기를 적용하여 가속력을 향상시켰다.[35] 2.0L 베타 엔진에는 5단 또는 6단 수동변속기, 4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고, V6 2.7L 델타 엔진에는 6단 수동변속기 또는 4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엔진 | 변속기 |
---|---|
2.0L 베타 | 수동 5단 수동 6단 자동 4단 |
V6 2.7L 델타 | 수동 6단 자동 4단 |
4. 3. 서스펜션
1세대 투스카니는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을 포르쉐와 공동 개발하여 적용했다.[7][28] 이는 1세대 후기형 모델(티뷰론 터뷸런스)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5. 한국 시장에서의 특별한 위치
현대자동차의 현대 쿠페는 대한민국 스포츠 쿠페 시장을 개척했으며, 젊은 세대에게는 드림카로 여겨졌다. 특히 투스카니는 튜닝 문화 발전에 기여하며 자동차 마니아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35]
5. 1. 튜닝 문화와의 관계
투스카니는 다양한 튜닝 부품과 액세서리가 출시되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젊은 층에게 인기를 끌었다.[34] 특히 2.7L 엘리사 모델의 작스 서스펜션을 2.0L 모델에 장착하거나, 전기형과 후기형 간의 외형을 바꾸는 등의 튜닝이 이루어졌다. 또한, 2.0L 모델에서는 볼트온 터보와 같은 성능 향상을 위한 튜닝도 유행했다.[34]5. 2.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투스카니는 니드 포 스피드 : 언더그라운드, 언더그라운드 2와 같은 레이싱 게임에 등장하여 젊은 세대에게 더욱 친숙한 이미지를 구축했다. 이 게임들에서는 최고급 트림인 V6 2.7 엘리사 모델이 선보여졌다.[35]6. 라인업
투스카니는 1세대와 2세대 모두 다양한 트림 레벨을 제공하여 고객의 선택 폭을 넓혔다. 1세대는 2.0L GL, 2.0L GT, 2.0L GTS, 2.0L GTS II, 2.7L 엘리사 트림으로 구성되었다.[36][38] 각 트림별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6. 1. 1세대 (GK) 라인업
2001년 9월 7일에 티뷰론의 후속 차종으로 선보인 투스카니는 아반떼 XD의 플랫폼을 사용하였고, 직렬 4기통 2.0L 베타 엔진, V6 2.7L 델타 엔진 등 2가지 엔진이 적용되었다.[35] 대한민국산 승용차 최초로 6단 수동변속기를 적용하였다.[35]1세대 (GK)는 다음과 같은 트림으로 구성되었다.
구분 | 2.0L 베타 | V6 2.7L 델타 |
---|---|---|
전장 (mm) | 4,395 | |
전폭 (mm) | 1,760 | |
전고 (mm) | 1,330 | |
축거 (mm) | 2,530 | |
윤거 (전, mm) | 1,490 | |
윤거 (후, mm) | 1,490 | |
승차 정원 | 4명 | |
변속기 | 수동 5단/수동 6단/자동 4단 | 수동 6단/자동 4단 |
서스펜션 (전/후) | 맥퍼슨 스트럿/듀얼 링크 | |
구동 형식 | 전륜 구동 | |
엔진 형식 | G4GC | G6BA |
연료 | 가솔린 | |
배기량 (cc) | 1,975 | 2,656 |
최고 출력 (ps/rpm) | 143/6,000 | 175/6,000 (이후 167/6,000으로 변경) |
최대 토크 (kg*m/rpm) | 19.0/4,500 | 25.0/4,000 |
연료 탱크 용량 (L) | 55 | |
공차 중량 (kg) | 1,297(수동 5단)/1,324(수동 6단)/1,321(자동 4단) (이후 1,318(수동 5단)/1,342(수동 6단)/1,344(자동 4단), 1,331(수동 5단)/1,330(수동 6단)/1,357(자동 4단)으로 변경) | 1,341(수동 6단)/1,349(자동 4단) (이후 1,368(수동 6단)/1,372(자동 4단), 1,390(수동 6단)/1,395(자동 4단)으로 변경) |
연비 (km/L) | 13.3(수동 5단)/13.7(수동 6단)/11.7(자동 4단) (이후 10.8(수동 5단)/12.4(수동 6단)/9.7(자동 4단), 11.6(수동 5단)/12.5(수동 6단)/10.4(자동 4단)으로 변경) | 10.6(수동 6단)/9.9(자동 4단) (이후 9.8(수동 6단)/8.7(자동 4단), 10.5(수동 6단)/9.0(자동 4단)으로 변경) |
Co2 배출량 (g/km) | 201(수동 5단)/187(수동 6단)/224(자동 4단) | 224(수동 6단)/259(자동 4단) |
7. 역대 슬로건
8. 명칭
현대 쿠페는 판매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대한민국에서는 티뷰론, 티뷰론 터뷸런스, 투스카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고, 해외 시장에서는 현대 쿠페 또는 티뷰론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이러한 명칭의 관계는 다음 표와 같다.
모델 | 대한민국 | 미국 호주 | 유럽 | 일본 |
---|---|---|---|---|
1세대 전기형 | 티뷰론한국어(Tiburon)[25] | 쿠페(Coupe) | (미출시) | |
1세대 후기형 | 티뷰론 터뷸런스한국어(Tiburon Turbulence)[26] | 티뷰론영어(Tiburon) | ||
2세대 | 투스카니한국어(Tuscani)[27] | 쿠페(Coupe) | ||
8. 1. 명칭의 유래
9. 랠리에서의 활약
현대자동차는 영국의 MSD(모터스포츠 디벨롭먼트)와 협력하여 티뷰론 F2 키트카를 개발, 랠리에 참전했다.[28] 영국에서는 이를 기념하여 "F2"와 "F2 에볼루션" 특별 사양 모델을 각각 1998년과 1999년에 출시했다. 1999년 쿠페는 아시아 태평양 랠리 선수권 대회(APRC) 2륜 구동 부문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세계 랠리 챔피언십(WRC)와 병행 개최된 FIA 2.0리터 컵에서도 연간 2위를 차지했다.[28] 미국의 SCCA 프로 랠리(랠리 아메리카의 전신)에서는 4륜구동으로 개조한 티뷰론이 참전, 제조사 선수권에서 6연패를 달성했다.
참조
[1]
뉴스
The New Hyundai Tiburon Comes in 2011
http://www.autoevolu[...]
autoevolution.com
2011-05-12
[2]
뉴스
HYUNDAI TIBURON REPLACEMENT TO BE SMALLER, LESS EXPENSIVE
http://www.autoevolu[...]
autoweek.com
2009-03-29
[3]
뉴스
Hyundai CEO Confirms New Veloster-Based Coupe, Elantra, Accent And Santa Fe for 2011
https://www.thecarco[...]
thecarconnection.com
2009-12-08
[4]
뉴스
Hyundai will stop Tiburon production
https://www.topspeed[...]
topspeed.com
2008-04-18
[5]
웹사이트
Hyundai Coupe (1996 - 2002) used car review, www.rac.co.uk
https://www.rac.co.u[...]
2019-05-06
[6]
웹사이트
Hyundai Coupe 2.0 FX specifications
http://www.parkers.c[...]
Parkers.co.uk
2010-08-28
[7]
웹사이트
Before N - Tiburon #1 - Hyundai Motor Brand Homepage
http://brand.hyundai[...]
2018-05-03
[8]
웹사이트
Coupe Models – The UK Hyundai Coupe Site
http://www.hyundaico[...]
Hyundaicoupe.info
2010-03-28
[9]
웹사이트
Hyundai Coupe F2 Evolution
http://www.newtonnet[...]
Newtonnet.co.uk
2010-03-28
[10]
간행물
Hyundai Coupe | First Drives | Car Reviews
http://www.autoexpre[...]
2010-10-08
[11]
웹사이트
2003–2008 Hyundai Tiburon: Overview, Updated: 11/13/10, Consumer Guide Automotive
http://consumerguide[...]
2011-03-17
[12]
웹사이트
Hyundai Tiburon TS: Drive
https://www.drive.co[...]
[13]
웹사이트
2004 Hyundai Tiburon 2-DR.w/SAB
http://www.safercar.[...]
[14]
웹사이트
2005 Hyundai Tiburon 2-DR. w/SAB NHTSA NCAP
http://safercar.gov/[...]
[15]
웹사이트
2006 Hyundai Tiburon 2-DR. w/SAB NHTSA NCAP
http://safercar.gov/[...]
[16]
웹사이트
2007 Hyundai Tiburon 2-DR. w/SAB NHTSA NCAP
http://safercar.gov/[...]
[17]
웹사이트
2007 Hyundai Tiburon GT – Seventh Place: 2007 Hyundai Tiburon GT, Car and Driver
http://www.caranddri[...]
Caranddriver.com
2012-01-10
[18]
웹사이트
Road Test: 2003 Hyundai Tiburon GT V6
http://www.motortren[...]
Motortrend.com
2012-01-10
[19]
웹사이트
Hyundai Tiburon GT V-6 – Comparison Tests
http://www.caranddri[...]
Caranddriver.com
2012-01-10
[20]
웹사이트
2003 Hyundai Tiburon Program #2138
http://www.motorweek[...]
Motorweek.org
2012-01-10
[21]
간행물
2007 Hyundai Tiburon SE - Road Test Update
http://www.roadandtr[...]
2012-01-10
[22]
웹사이트
CT_2002-Ford-SVT-Focus-vs-2002-Honda-Civic-Si-vs-2003-Hyundai-Tiburon-GT-V6-vs-Nissan-Sentra-SE-R-Spec-V_data
http://www.roadandtr[...]
2012-01-10
[23]
웹사이트
Sales Performance ! IR Activities ! IR ! Company ! Company - Hyundai Worldwide
https://www.hyundai.[...]
2022-02-08
[24]
웹사이트
Hyundai Tiburon Sales Figures
https://carsalesbase[...]
2022-02-08
[25]
문서
ハングル表記に忠実に発音すると発音は「ティビュロン」となる
[26]
문서
ハングル発音は「ティビュロン・トビュロンス」
[27]
문서
ハングル発音は「トゥスカニ」
[28]
웹사이트
Before N - 티뷰론 #1
https://www.hyundai.[...]
現代自動車
2020-10-29
[29]
웹사이트
티뷰론(Coupe)(1996.04)
https://www.hyundai.[...]
現代自動車
2020-10-29
[30]
웹사이트
Hyundai Coupe I (RD) 1.6 i 16V (114 Hp) 1996, 1997, 1998, 1999 Specs
https://www.auto-dat[...]
2020-11-01
[31]
웹사이트
ヒュンダイ・クーペFX V6(6MT)【ブリーフテスト】
https://www.webcg.ne[...]
webCG
2020-10-29
[32]
웹사이트
Before N - 투스카니 #1
https://www.hyundai.[...]
現代自動車
2020-10-29
[33]
웹사이트
Car Reviews - Hyundai Coupe 1.6 S
https://www.theaa.co[...]
2020-11-01
[34]
웹사이트
Before-N トスカーニ#1
https://www.hyundai.[...]
2021-09-19
[35]
뉴스
탤런트 류시원, 투스카니 1호 고객
매일경제신문
2001-09-09
[36]
뉴스
이젠 맞춤車 시대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2-02-14
[37]
뉴스
현대차, 2003년형 투스카니 시판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2-08-30
[38]
뉴스
현대차 "2004년형 투스카니 출시"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03-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